오늘은 제가 좋아하는 유형의 단타 투자 전략 중 과매도 진입 매매 전략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트레이딩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서도 보시고 좋은 의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과매도란 무엇인가요?
과매도(Oversold)란 시장에서 특정 종목이나 자산이 과도하게 하락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때는 매도세가 극단적으로 몰려 가격이 저평가된 구간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등의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기술적 지표 중 대표적인 RSI(Relative Strength Index)가 30 이하로 떨어졌을 때 일반적으로 과매도 구간으로 판단합니다.
과매도 진입 기준
저의 경우 과매도가 발생했을 경우 단순한 RSI 지표만으로 진입하지 않습니다. 실전에서는 다양한 하락 패턴을 함께 고려하여 진입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될 때 진입을 고려합니다:
- 최근 1시간 내 1~1.5% 이상의 급격한 하락(이 때부터 바닥을 잡기 위해 1분봉을 참고)
- RSI 30 이하 진입
- 짧은 시간 내 연속 음봉 형성(5분봉 기준 3개 이상)
- 이전 지지 구간 또는 장대 음봉 하단에서의 지지 여부(거래량을 동반한)
이러한 조건은 통상적인 하락이 아닌, 일시적인 투매 또는 과도한 심리 반영에 의한 급락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설정한 기준입니다.
진입 이후의 전략: 분할 진입과 분할 매도
과매도 구간에서의 진입은 반등을 노린다는 점에서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따라서 저는 분할 진입을 기본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첫 진입 이후 추가 하락 시 두 번째, 세 번째 진입을 통해 평단을 낮추는 구조입니다.
이와 동시에, 청산 역시 분할로 진행합니다. 목표 수익률 1~3% 구간에서 절반 청산을 하고, 나머지는 추가 반등을 기대하며 익절 또는 본절로 정리합니다. 이는 수익을 실현함과 동시에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원웨이 장에서의 위험과 손절 기준
과매도 진입 전략의 가장 큰 리스크는 시장이 단방향으로 지속해서 흘러가는 '원웨이 장'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장에서는 과매도라고 판단되는 지점에서도 반등이 없이 계속 하락하는 경우가 많아, 매수 포지션의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는 반드시 손절 기준을 사전에 설정하고, 진입 후 일정 퍼센트 이상 손실이 누적되었을 때 과감히 포지션을 정리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전체 진입 금액 대비 5~7% 손실 구간을 이탈할 경우 강제 청산을 고려하고 있으며, 손절이 곧 자산 보호라고 생각하고 대응하고 있습니다.
왜 이 전략을 사용하는가?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전략을 실행해보면서, 무작정 상승장에 올라타는 것보다 하락 이후의 반등을 노리는 방식이 저에겐 더 잘 맞는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과매도 진입 전략은 단기적인 리스크는 존재하지만, 명확한 기준 아래에서 진입한다면 높은 확률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특히, 장세가 좋지 않더라도 조건에 맞는 과매도 구간은 꾸준히 나타나며, 단기 트레이딩을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전략은 제 매매 스타일과도 부합합니다.
특히 앞서 소개해드렸던 밴드 타기 이후 평균 회귀와 역추세 매매를 함께 참고하여 보시면 더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역추세 매매: https://drich.tistory.com/102
- 밴드 타기 이후 평균회귀: https://drich.tistory.com/131
마무리하며
과매도 진입 전략은 단기 매매자에게 유용한 도구입니다. 다만 아무리 훌륭한 전략이라도 무리한 진입이나 레버리지의 남용은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항상 손절 기준을 세우고, 시장 흐름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트레이딩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본 글은 개인적인 투자 전략 소개를 위한 내용이며, 모든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트레이딩 | 트레이딩 기법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린저 밴드와 RSI 조합: 최적의 진입 타이밍 포착 (59) | 2025.04.27 |
---|---|
볼린저 밴드란 무엇인가? 눌림목, 돌파, 밴드 수축까지 실전 매매에 활용하는 법 (39) | 2025.04.19 |
W패턴이란 무엇인가? (45) | 2025.04.18 |
밴드 타기 이후 평균 회귀, 이 패턴이 자주 나오는 이유는? (97) | 2025.04.01 |
역추세 매매란? 하락장에서 기회를 찾는 전략 (37)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