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정정책과 연준 압박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달러의 안전자산 지위가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와 시카고대 글로벌마켓 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 90% 이상이 향후 5~10년 내 달러의 안전자산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감세·관세·연준 압박…달러 신뢰도를 흔든 정책들
FT는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중심 확장 재정정책과 연방준비제도(Fed)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정치적 행보가 신뢰 약화의 핵심 원인이라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직후 미국은 주식시장, 국채, 달러 가치가 모두 하락하는 ‘트리플 약세’를 경험했습니다. 이후 달러인덱스는 97.2까지 떨어지며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텍사스대 사로즈 바타라이 교수는 “정치적 불확실성은 위험 프리미엄을 상승시키고, 장기채 금리를 끌어올리는 동시에 달러 가치를 약화시킨다”며, “스위스프랑과 금이 오히려 더 안전자산처럼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연준 인사 개입 시 ‘달러 불신’ 가속화 우려
존스홉킨스대 로버트 바베라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의장을 해임하거나 차기 인사를 통해 연준을 장악하려 든다면, 나의 달러 자산에 대한 우려는 ‘다소’에서 ‘매우’로 바뀔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듀크대 아나 체스라크 교수 역시 “재정적자, 고의적 달러 약세 유도, 연준의 독립성 훼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달러 신뢰를 훼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금리도 오르는데, 국채는 더 이상 안전자산일까?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약 4.28% 수준이지만, 응답자의 75%는 내년 중순까지 5%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카를로스3세대학의 에비 파파 교수는 “미국 국채가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닐지도 모른다”며, “유럽 국채와 비교해도 금리가 불균형하게 반영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곧, 금리가 올라도 자산 신뢰가 무너지면 투자자의 회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자 관점: ‘달러=안전자산’ 공식을 재정의할 시점
달러 자산과 미 국채는 오랜 시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무조건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정치적 불확실성과 통화정책의 독립성 훼손, 재정 남용 등 구조적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누적되면서 이 공식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금, 스위스프랑, 일부 유럽 국채 등 대체 자산에 대한 관심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인사 개입 여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 ‘달러의 미래’는 더 이상 과거처럼 확정적인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파월 “관세 효과 명확해질 때까지 금리 인하 없다”…정책 불확실성에 신중한 연
보우먼 부의장 “인플레 억제 시 7월 금리 인하 지지”…월러 이어 연준 내부 기류 변화?
#달러위기 #트럼프정책 #연준독립성 #미국국채 #안전자산재정의 #달러인덱스하락 #정치리스크 #글로벌금리변화
'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도 ‘코인 홀릭’? 서학개미, 1조 베팅한 진짜 이유 [2025.07.01] (70) | 2025.07.01 |
---|---|
코스피 3070선 반등…외국인은 팔고, 수급은 갈렸다 [2025.06.30] (62) | 2025.06.30 |
스테이블코인에 발목 잡힌 한은의 CBDC, 왜 멈췄나 [2025.06.30] (63) | 2025.06.30 |
미국 관세 '7월 패키지' 시한 임박…협상의 열쇠는 트럼프의 손에 [2025.06.29] (103) | 2025.06.29 |
가상자산 ETF, 국내에서도 가능해질까? [2025.06.29] (88)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