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연방준비제도(Fed) 고위 인사들이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해 잇달아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습니다. 관세는 단기적으로 정치적 지지를 얻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과 실업률 증가, 성장 둔화라는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것이 연준의 시각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 같은 정책적 외부 충격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냉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내용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준 이사 마이클 바 “현대사에 유례없는 관세 인상”
마이클 바 연준 이사는 아이슬란드 중앙은행 주최 콘퍼런스에서 “현재의 관세 인상은 현대사에서 보기 드문 규모와 범위”라고 지적하며, “2025년 하반기부터 물가 상승과 글로벌 성장 둔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특히 중소기업이 공급망 혼란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입 물가 상승에 그치지 않고, 기업 운영비용의 상승 → 고용 위축 →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연쇄적 파장을 의미합니다.
파월 의장도 “인플레·성장 둔화·실업” 모두 경고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금리 동결 직후 기자회견에서 “관세가 지속될 경우, 세 가지 부정적 효과—인플레이션 상승, 경제 성장 둔화, 실업률 증가—를 모두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연준의 시각이 단순히 물가 지표뿐 아니라, 노동시장과 실질 경기 전반에 걸친 구조적 충격으로 관세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연준의 독립성과 정부 정책의 충돌
뉴욕 연은 윌리엄스 총재는 “중앙은행은 충격이나 정부 정책과 무관하게 물가 안정 책임을 진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상황에서도, 통화정책의 독립성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발언들은 중앙은행 내부에서도 정책 독립성과 정치 간섭 사이의 긴장감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리치먼드 연은 “소비자 인내심 한계, 가격 전가 어렵다”
토머스 바킨 총재는 “소비자들은 이미 가격 인상에 민감해져 있다”며, 기업들이 관세로 인한 원가 상승을 가격에 온전히 반영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는 기업 실적에도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주목할 포인트
- 관세가 지속될 경우, 인플레이션은 단기 반등 이후 고착될 가능성이 있음
- 기업의 비용 증가와 가격 전가 실패는 이익률 악화로 이어질 수 있음
- 통화정책 독립성이 흔들릴 경우, 시장의 예측 가능성 저하 가능성
- 노동시장 둔화가 실질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며 이중 충격 발생 우려
정리하며: 정치적 관세, 경제적 충격으로 돌아올 수도
관세는 정치적 무기이자 단기 수단이 될 수 있지만, 경제 전반에는 고물가-고실업-저성장이라는 3중 리스크로 되돌아올 수 있습니다. 지금은 투자자 입장에서 금리, 물가, 고용지표뿐 아니라 정책 신호와 그 파급경로까지 함께 주시해야 할 때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연준, 기준금리 동결...불확실성 속 '신중모드' 유지
#연준 #관세인플레 #금리전망 #고용리스크 #정책위험 #미국경제전망
'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발 위기의 확산, 흔들리는 한국 내수와 미국 시장 [2025.05.10] (70) | 2025.05.10 |
---|---|
트럼프의 대중 관세 언급과 뉴욕증시의 혼조세 [2025.05.10] (68) | 2025.05.10 |
AI 칩 수출 통제, 정말 미국에 유리한가? 빅테크가 던진 경고 [2025.05.09] (83) | 2025.05.09 |
세종시 집값 2.5억 급등…투자자는 왜 더 신중해야 할까? [2025.05.09] (86) | 2025.05.09 |
비트코인 10만 달러 재돌파…국내는 '역김치프리미엄'에 신중한 투자자들 [2025.05.09] (64)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