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2025년 6월 증시 흐름: 대선 앞둔 코스피, 강보합 마감 속 업종별 엇갈린 희비 [2025.06.02]

dRich 2025. 6. 2. 19:37
728x90
반응형

대선을 하루 앞둔 6월 2일, 국내 증시는 전반적으로 눈치 보기 장세 속에서 강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정치 이벤트를 앞둔 불확실성이 증시에 관망세를 유도하는 가운데, 업종별로는 희비가 크게 엇갈렸습니다. 특히 수출 호조에 힘입어 화장품 및 미용 관련주는 급등한 반면,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관세 인상 여파로 철강주는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2025년 6월 증시 흐름: 대선 앞둔 코스피, 강보합 마감 속 업종별 엇갈린 희비

 

대선 앞둔 '신중 모드' 장세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0포인트(0.05%) 오른 2698.97로 마감하며 2700선을 밑돌았습니다. 장 초반 하락 출발 이후 한때 2720선 근처까지 상승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분을 반납한 뒤 다시 상승 전환하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투자 주체별로는 외국인(+1239억)과 개인(+987억)의 매수세가 강했고, 기관은 2402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대선을 하루 앞두고 시장은 기대감과 차익 실현이 공존하는 양상입니다. 특히 대선 기간 중 자본시장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던 금융주는 최근 상승분에 대한 차익 실현 매물이 나왔습니다.

 

업종별 희비: 미용 관련주 급등 vs 철강/금융주 하락

5월 수출 호조 소식이 전해지면서 코스닥 시장을 중심으로 화장품 및 미용 관련 업종이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5월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점이 투자심리를 자극했습니다.

  • 실리콘투 +9.96%
  • 브이티 +8.82%
  • 에이피알 +6.85%
  • 파마리서치 +4.99%

반면, 철강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관세 인상 발언 여파로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 세아제강 -10.12%
  • KG스틸 -6.16%
  • 현대제철 -2.66%

또한 대선을 앞두고 급등했던 금융주는 차익 실현 매물로 조정을 받았습니다.

  • KB금융 -4.12%
  • 신한지주 -3.96%
  • 하나금융지주 -3.71%
반응형

 

지수 및 외환 시장 동향 요약

항목 수치
코스피 2698.97 (+0.05%)
코스닥 740.29 (+0.81%)
환율 1373.1원/달러 (-7.0원)
유가증권 거래대금 8조 546억 원
코스닥 거래대금 5조 7137억 원
넥스트레이드 거래대금 4조 1617억 원

 

정치 이벤트 이후 방향성 주목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며, 증시는 관망세 속에 향후 정책 방향에 주목하는 모습입니다. 특히 수출 회복 흐름이 이어질 경우 화장품 등 소비재 수출주에 대한 기대감은 계속될 수 있습니다. 반면 철강, 금융 등 대외 변수와 정책 변화에 민감한 업종은 향후 추가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향후 단기적으로는 대선 이후의 정책 방향과 미중 무역 긴장 등 대외 변수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2025증시 #대선증시 #미용주급등 #철강관세 #트럼프 #환율하락 #자본시장정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