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는 많은 자본이 필요해 쉽게 투자를 할 수 없는 분야이다.
하지만 리츠에 투자를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부동산에 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렇다면 리츠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리츠(REITs)는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의 약자로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 운영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라고 정의되어 있다. (출처: 리츠정보시스템)
https://www.kareit.or.kr/invest/page1.php
한국리츠협회
Korea Association of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kareit.or.kr
리츠 주식회사가 투자자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방식은 배당의 형식으로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하면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배당하도록 의무로 규정되어 있어 일반 주식 종목과 비교하면 고배당 종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리츠에 투자를 하는 방법은 주식시장에 상장된 리츠의 주식을 구매하거나 다양한 리츠로 구성된 관련 ETF를 구매하는 방법이 있다. 각각의 방법에는 장점이 존재하는데
#1 리츠의 주식을 직접 구매하는 방법의 장점으로는 각 리츠 주식회사들마다 갖는 특징에 따라 본인이 선호하는 분야에 투자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츠 주식회사들은 상업시설, 인프라, 매매, 운영 등 주로 투자를 하는 유형이 분류된다. 이러한 특징을 보고 부동산 시장의 현황이나 뉴스들을 보고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2 반면 ETF를 구매하는 방법은 여러 리츠들의 특징을 모두 반영하므로 안정적이라는 점을 들 수 있으며 해외 리츠들도 함께 구성되는 경우가 있어 해외 부동산 투자를 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리츠에 투자하는 전략도 상황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
#1 배당에 대한 기대심리로 오르게 되는 리츠 주식의 주가에 대한 매매 차익을 통해 수익을 얻는 방법과
#2 꾸준히 지급되는 배당 수익금을 통해 재투자를 하는 방식이 있을 것이다.
부동산 펀드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라면 리츠가 부동산 펀드와 부동산에 간접 투자를 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둘의 차이점이라면 리츠는 일반 주식종목과 같이 투자를 하여 배당이나 매매에 따른 시세 차익으로 수익을 얻는 구조로 자금의 회수가 빨라 유동적이고 부동산 펀드는 각각의 펀드에 투자하여 만기 후 투자수익을 얻는 방법이라는 차이가 있다. 보통 펀드의 경우 일반적으로 3년에서 5년까지로 만기가 길고 중도 해지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유동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정리를 해보자면 리츠는 시장의 상황과 본인의 성향을 고려하여 위의 방법과 전략을 잘 조합하고, 꾸준히 투자를 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투자 상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의: 투자는 본인이 전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만큼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만큼만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경제 이모저모|경제 용어 & 기초 상식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상식]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무엇인가? (30) | 2025.04.18 |
---|---|
[경제상식] CPI란? 소비자물가지수의 의미와 투자자에게 중요한 이유 (47) | 2025.04.17 |
주식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1 [초보 투자자] (0) | 2022.11.03 |
증권사 발행어음? 목돈을 굴려보자! [초보 투자자] (0) | 2022.10.21 |
미국 배당주 배당킹에 대해 알아보자 [초보 투자자] (1)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