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라 불리는 국내 해외주식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의 대표격인 매그니피센트 7(M7)에서 디지털 자산 관련 종목으로 투자의 무게추를 옮기고 있습니다.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대신 서클, 코인베이스,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최근 순매수 상위권에 등장한 것이 그 신호입니다.
가장 많이 산 종목은 '서클'…USDC의 주체
지난 4~10일 한국예탁결제원 자료에 따르면 서학개미의 순매수 1위 종목은 '서클 인터넷', 순매수 금액은 약 526억원에 달했습니다. 이 회사는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로, 최근 미국의 규제 정비와 함께 가장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자산 기업 중 하나입니다.
2위는 코인베이스 글로벌(약 466억원), 5위는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한 마이크로스트래티지(약 231억원)로 역시 디지털 자산 중심 종목입니다.
M7 중에서는 단 하나, 메타 플랫폼만이 20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는 기존의 기술주 집중 투자가 완연히 변화하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가상자산 우호 정책이 흐름 이끌어
이 같은 변화의 배경에는 미국 내 디지털 자산 환경의 변화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디지털 자산 전략 비축 명령에 서명했고, 미국 상원은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지니어스 법)을 통과시켰습니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은 11만6000달러를 돌파, 신고가 랠리를 이어가고 있으며, 14일부터는 '가상자산 주간(Crypto Week)'이 지정되어 3대 가상자산 법안 논의가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국내 자금 흐름은?…순매도 전환과 유동성 재편
흥미로운 점은, 같은 기간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순매도 결제 규모는 4,334억 원에 달했다는 점입니다. 한편, 신용융자 잔고는 증가세, 예탁금은 감소세, MMF(머니마켓펀드) 설정액은 증가했습니다.
이는 국내 투자자들이 직접 주식보다 간접 상품(ETF, MMF)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고, 가상자산 관련주로 리밸런싱을 시도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투자자 관점: 테마 순환의 시작이자 신호
이번 흐름은 단기적 추세 전환이 아니라, 미국 내 정책 변화와 비트코인 가격 흐름이 맞물려 만들어진 구조적 이동으로 보입니다. 특히 서클과 코인베이스 같은 인프라 기반 종목의 부각은, 단순 가격 상승보다도 산업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과거 테슬라, 엔비디아가 그랬듯이, 이제 디지털 자산이 서학개미의 다음 ‘주력 테마’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리스크 관리와 분산 투자 전략을 병행하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서학개미, 다시 미국 주식으로…투심 되살린 건 '정책 안정'과 '암호화폐 제도화'
리플, 은행 면허 신청…스테이블코인 경쟁 구도 본격화되나
스테이블코인 2위 서클, 상장 이틀 만에 시총 29조 돌파
#서학개미 #가상자산투자 #USDC #서클인터넷 #코인베이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 #CryptoWeek #지니어스법 #디지털자산전환
'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들의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경쟁…'먼저 찍고 본다'는 속내 [2025.07.12] (84) | 2025.07.12 |
---|---|
원화 스테이블코인, 속도전이냐 안정성이냐…갈림길에 선 디지털 원화 실험 [2025.07.12] (86) | 2025.07.12 |
트럼프 관세, 이젠 '무서운 카드' 아니다?…증시와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경신 [2025.07.12] (69) | 2025.07.12 |
코스피, 연중 최고치 경신…‘5000 시대’ 진입 가능성은? [2025.07.12] (57) | 2025.07.12 |
한국 기업, 중국에서 발 빼는 중… '차이나 엑소더스' 현실화 [2025.07.11] (75)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