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높은 관세, 인플레이션은 일시적? – 월러 연준 이사의 관점과 그 의미 [2025.04.15]

dRich 2025. 4. 15. 11:37
728x90
반응형

높은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한 상황에서 월러 미 연준 이사의 발언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우려 속 연준의 시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고율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되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 고위 인사가 이와 관련된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다소 다른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14일(현지시간) CNBC와 야후파이낸스 등과의 인터뷰 및 연설을 통해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인플레이션 경로에 대한 두 가지 시나리오

월러 이사는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행사에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그는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는데, 첫째는 큰 폭의 관세가 오랜 기간 유지되며 소비자물가가 4~5%까지 상승하는 경우, 둘째는 비교적 적은 폭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일시적으로 3% 수준까지 물가가 오르다 이후 하락하는 시나리오입니다.

그는 후자의 경우가 더 가능성이 높다고 보며, 어느 경우든 결국 금리 인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과거의 실수에서 얻은 교훈

월러 이사는 2021~2022년 팬데믹 시기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과소평가했던 과거를 언급하며, 당시 물가 상승이 "일시적"일 것이라는 판단이 틀렸음을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번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공급망 혼란이나 수요 급증과 같은 과거 요인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다고 강조했습니다.

 

관세의 목적과 그에 따른 경제 흐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목적에 대해 월러 이사는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하나는 미국 산업 보호와 재정비를 위한 전략으로, 이 경우 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다른 하나는 협상 전략으로서의 관세 활용인데, 협상 이후 관세가 완화될 경우 물가 충격은 줄어들고 연준은 인플레이션보다 경기 둔화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결론: 연준의 정책 유연성과 투자자 시사점

월러 이사의 발언은 연준이 현재의 관세 상황을 매우 유동적으로 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면, 연준은 경기 침체 방지를 우선순위로 삼아 금리 인하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당장의 물가 상승보다 연준의 정책 변화 방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전제하에 채권, 성장주, 금 관련 자산 등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환경에 놓일 수 있으며, 금리 인하 시점과 강도를 선제적으로 해석해 투자 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준정책 #인플레이션전망 #관세영향 #금리인하 #미국경제 #크리스토퍼월러 #트럼프관세 #투자전략 #경제칼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