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발표한 고율 관세 조치의 유예기간이 곧 종료되는 가운데, 미국 재무부가 ‘최대 압박’ 전략을 공식화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협상이 지지부진한 국가에 대해 오는 8월 1일부터 기존 고율 관세를 다시 적용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새로운 마감일 아냐…8월 1일부터 적용"
베선트 장관은 7월 6일 CNN 방송에 출연해 “대통령이 약 100개국에 서한을 보낼 예정”이라며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8월 1일부터 원래 고율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유예 종료일인 7월 8일 이후 약 3주간의 완충 기간을 두되, 실제 발효 시점을 못 박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는 “새로운 마감일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각국이 협상을 서두르느냐, 고율을 감수하느냐는 그들의 선택”**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덧붙였습니다.
‘전술서(playbook)’는 최대 압박…EU도 움직였다
이번 발언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미국 측이 ‘최대 압박 전략’을 명시적으로 언급했다는 점입니다. 베선트 장관은 “세 달 전만 해도 협상에 미온적이던 EU가, 트럼프 대통령이 50% 관세를 언급하자 몇 시간 만에 유럽연합 고위 인사들이 직접 연락해왔다”고 사례를 들었습니다.
현재 유럽은 협상에 있어 “매우 긍정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하며, 트럼프식 압박 전략이 실효성을 갖는다는 점을 부각했습니다.
투자자 포인트: 무역 불확실성 재점화 주의보
이번 발언은 단순한 관세 정책 예고를 넘어,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무역 전략이 다시 본격 가동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G2를 제외한 중소 교역국과의 관계에서 정책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역 불확실성은 중소형 수출주, 신흥국 투자, 원자재 가격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협상 진척 여부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구간입니다.
향후 발표될 각국의 대응 수준과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 서한 내용, 협상 진척도에 따라 관련 섹터에 민감한 반응이 예상되므로 선별적 주시와 방어적 포트폴리오 점검이 요구됩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트럼프, '관세 서한'으로 무역전쟁 재점화 예고… 단순한 통보가 더 효과적?
트럼프發 관세 리스크에 코스피 하루 만에 2% 급락…기관 매도 '직격탄'
#미국관세 #상호관세 #트럼프압박전략 #스콧베선트 #무역정책 #유럽협상 #관세정책 #무역불확실성 #머니뭐니
'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신고가… 알트코인도 질주 [2025.07.11] (92) | 2025.07.11 |
---|---|
ETF로 번진 테슬라 리스크, 서학개미의 반응은? [2025.07.07] (123) | 2025.07.07 |
‘배드뱅크’의 선 긋기…주식·유흥 빚은 탕감 대상 아냐 [2025.07.07] (58) | 2025.07.07 |
비트코인 쓸어담는 상장사들…ETF보다 빠른 손 [2025.07.06] (71) | 2025.07.06 |
스테이블코인, 문은 열되 문턱은 높게…한은의 복잡한 셈법 [2025.07.06] (64)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