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전 세계 무역질서에 파장을 일으킬 발언을 내놓았습니다. 무역 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들에 대해 15~20% 수준의 일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입니다. 시장은 이번 발언을 또 하나의 무역 압박 수단으로 해석하며, 향후 글로벌 무역 흐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관세는 '서한으로 통보'하는 시대?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서한이 발송되면 그 자체가 거래"라고 언급하며, 무역협정이 없는 국가들에 약 200통의 관세 관련 서한을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사실상 미국의 일방적인 조건을 제시하는 셈으로, 실질적인 협상 없이도 통보만으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입장을 천명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미국 중심의 거래 규칙을 다시 세우려는 시도이자, 자국 이익을 우선시하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상대국들의 반발이나 보복 관세, 나아가 글로벌 무역 분열 가능성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중국엔 협상 메시지, 하지만 강경한 시선 여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향해서도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그는 현재 진행 중인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과 관련해 "우리는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은 강경하다"고 평가하며, 일본처럼 자국 시장을 개방하는 자세를 기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일견 협상 유도성 발언처럼 보일 수 있지만, 동시에 압박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일본이 미국과의 협상에서 미국산 쌀 시장을 대폭 개방했던 사례를 거론하며 중국에도 유사한 양보를 촉구한 셈입니다.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단기적으로 관세 관련 이슈에 노출된 국가 및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무역협정이 미비한 신흥국들, 그리고 관세 부과 대상 가능성이 있는 특정 품목(자동차, 철강 등)에 대한 민감도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 미국과 이미 무역 협정을 맺은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이번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협상의 지렛대'라는 전략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재확인시켜주는 사례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정책 변수에 대한 경계심을 유지하며, 무역 흐름 변화에 민감한 종목군에 대해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한미 통상 협상, 여전히 '진통'…4000억 달러 패키지 놓고 줄다리기
트럼프, "관세 협상 다음달 1일까지 마무리"… 협상 없는 국가는 고율 관세 예고
15% 관세가 글로벌 기준선? 한국도 '합의 압박' 커진다
#트럼프관세 #미국무역정책 #글로벌관세 #중국무역협상 #미국대선이슈 #스코틀랜드트럼프 #키어스타머 #국가별관세 #미중무역전쟁 #무역협정정책 #경제브리핑 #투자시사 #글로벌경제동향 #환율변동요인 #해외주식리스크
'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이 카드 결제도 대체할까?” 결제 시장의 새로운 기로 [2025.07.29] (66) | 2025.07.29 |
---|---|
ETF 유입 멈추자 식어가는 분위기…가상자산 전반 하락세 [2025.07.29] (75) | 2025.07.29 |
코스피, 3200선 회복…삼성전자 '7만전자' 복귀가 견인한 상승 [2025.07.29] (67) | 2025.07.29 |
삼성, 테슬라 차세대 AI칩 수주…'뉴삼성' 파운드리 재도약 신호탄 될까 [2025.07.28] (59) | 2025.07.28 |
법인세·거래세 인상, 대주주 기준 강화…이재명 정부 첫 세제개편안 윤곽 [2025.07.28] (61)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