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새벽 갑자기 밈코인인 트럼프 코인의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그 내용을 확인해보니 트럼프와의 만찬 이벤트를 제공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이 급등에 대한 내용과 논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공개 만찬’ 이벤트에 가격 58% 급등
2025년 4월 23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비공개 만찬을 홍보 수단으로 내세운 밈코인 ‘오피셜 트럼프’가 가격 급등을 기록했습니다. 오피셜 트럼프를 가장 많이 보유한 220명을 대상으로, 트럼프 소유의 골프장에서 비공개 만찬과 백악관 투어 기회를 제공한다는 이벤트가 발표되며, 단숨에 58% 이상 상승한 것입니다.
이벤트는 오피셜 트럼프 측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었으며, 4월 23일부터 5월 12일까지의 평균 보유량을 기준으로 초청 대상을 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코인 가격은 발표 직후 5.32달러에서 14.32달러로 급등했으나, 이후 12.83달러까지 소폭 하락한 상태입니다.
대통령직을 활용한 마케팅? 윤리 논란 커져
해당 이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일정과는 무관한 개인적 행사로 보이지만, 현직 대통령이 자신의 이름을 내건 코인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 CBS와 CNBC 등은 이를 두고 “정치적 영향력과 금전적 인센티브를 결합한 페이투플레이(pay-to-play)의 명백한 사례”라고 지적했습니다.
전 미 SEC 암호화폐 정책 담당자 코리 프레이어는 “그들은 실제로 pay-to-play를 노골적으로 실천하고 있다”며, 선을 넘은 정치 마케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크레이튼 대학교의 법학교수 역시 “대통령직을 이용해 사익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SEC 규제 공백 속 밈코인의 모순된 지위
오피셜 트럼프의 급등은 밈코인의 규제 사각지대도 함께 드러냈습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올해 초 “농담이나 유명인을 마스코트로 한 밈코인은 감독 대상이 아니다”라고 발표한 바 있어, 제도권 내 규율 공백이 계속해서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일부 암호화폐 회의론자들은 이 같은 허술한 규제가 “사기를 양산할 위험한 조치”라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오피셜 트럼프는 1월 19일 한때 75달러 이상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고점 대비 88% 하락했다가 이번 이벤트로 재차 부각된 바 있습니다.
맺으며
오피셜 트럼프의 ‘트럼프 만찬 이벤트’는 단순한 가격 급등 이벤트를 넘어서, 가상자산의 규제 공백과 정치인의 사적 브랜딩, 시장의 투기적 성격이 뒤섞인 복합적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대통령이라는 공적 지위를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향후 유사 사례의 판례가 될 수 있어 주목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벤트성 가격 급등에 무작정 뛰어들기보다는, 지속 가능성과 윤리 리스크까지 함께 고려하는 냉정한 시각이 필요할 것입니다.
#오피셜트럼프 #밈코인 #트럼프만찬 #암호화폐이벤트 #정치마케팅 #규제공백 #SEC논란 #페이투플레이 #가상자산윤리
'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 완화+금리 인하 기대, 기술주 강세 이끈 뉴욕증시 3일 연속 상승 [2025.04.25] (99) | 2025.04.25 |
---|---|
손정의의 귀환? 소프트뱅크, 30억달러 규모 비트코인 투자 재도전 [2025.04.24] (61) | 2025.04.24 |
비트코인만 오른다? 가상자산 시장의 새로운 구조와 독주 현상 [2025.04.24] (77) | 2025.04.24 |
트럼프 대통령, 대중 관세 완화 시사…전략적 전환인가, 유화 제스처인가 [2025.04.24] (65) | 2025.04.24 |
EU, 애플·메타에 과징금 부과…빅테크 첫 제재의 의미는? [2025.04.23] (53)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