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2025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 이하로 하향 전망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의 상황을 살펴보고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 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피치 “한국 경제 성장률 1% 미만 전망…추경과 금리 인하 모두 필요”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Fitch)가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1% 이하로 하향 전망하면서, 강력한 부양책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물가가 잘 통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1%포인트 인하하고,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도 필요하다는 것이 피치의 분석입니다.
25일 열린 ‘피치 온 코리아 2025’에서 제레미 주크 피치 아시아태평양 디렉터는 “한국은 대외 및 재정적 신용 완충력이 충분하다”며 “단기 위기 대응은 가능하지만 구조적 재정 확대에는 경계가 필요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미국 관세 인상이 직접적 악재로 작용
피치는 특히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과 글로벌 무역 긴장이 한국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은 대미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으며, 세계 경기 둔화에 따른 간접적 충격도 피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실제로 피치는 3월까지만 해도 1.3%였던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이번에 1.0%로 낮췄습니다. 또한 1분기 성장률이 기대치를 밑돌면서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물가 안정 vs 경기 둔화…기준금리 1.75% 전망
현재 기준금리는 2.75%지만, 피치는 연말까지 1.75%까지 인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물가가 안정되고 있는 만큼 한국은행의 추가 통화완화 여지가 있다는 분석입니다. 피치는 “가계부채보다 경기 둔화 대응이 더 중요한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피치는 한국의 재정 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추경의 반복이나 구조적 재정 확대에는 신용등급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시적 경기 대응은 가능하되, 중장기 재정 전략은 신중해야 한다는 경고로 읽힙니다.
관세 회피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정치 변수는 리스크
피치는 미국의 25% 상호관세는 그대로 적용되기보단 협상 타결로 일부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실효 기준으로는 15% 수준에서 적용될 것으로 보며, 6월 대선을 앞둔 한국의 정치 일정은 빠른 협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맺으며
피치의 이번 전망은 한국 경제가 단기 대응은 가능하나 구조적으로는 취약한 고리에 놓여 있음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킵니다. 미국과의 통상 리스크, 내수 경기 침체, 고금리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가운데, 정부와 한국은행은 보다 정밀한 정책 시그널 조율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돈 보따리’는 필요하지만, 무작정 풀 수 없는 현실.
성장의 해법은 단순한 추경이나 금리 인하 그 이상이어야 할지도 모릅니다.
#피치성장률전망 #한국경제전망 #기준금리인하 #추경편성 #통화정책 #재정정책딜레마 #미국관세리스크 #무역둔화
'머니뭐니|투자 칼럼 & 경제 시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 갈등 완화 기대 속 강세, 그러나 신중해야 할 때|뉴욕증시와 투자자 전략 [2025.04.26] (74) | 2025.04.26 |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했다”…협상은 진짜 시작됐나? [2025.04.26] (37) | 2025.04.26 |
관세 완화+금리 인하 기대, 기술주 강세 이끈 뉴욕증시 3일 연속 상승 [2025.04.25] (99) | 2025.04.25 |
손정의의 귀환? 소프트뱅크, 30억달러 규모 비트코인 투자 재도전 [2025.04.24] (61) | 2025.04.24 |
트럼프와의 만찬? 밈코인 오피셜 트럼프의 급등과 논란 [2025.04.24] (90) | 2025.04.24 |